남의 컨텐츠 사용의 문제점
2013년 03월 11일

뮤직쉐이크에서 4년 이상 일하면서 나는 음악 산업의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그러면서 음악 산업에 대해 알면 알수록 나는 다시는 음악 관련 서비스는 하지 말아야지라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는 굉장히 회의적인 시각과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우리가 잘 아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Pandora나 Spotify의 큰 취약점은 바로 서비스의 core가 되는 음원이라는 컨텐츠가 남의 것 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레이블들과 퍼블리셔들 소유의 음원을 인터넷을 통해서 유통하는 플랫폼인데 - 물론, 어마어마하게 큰 플랫폼이다 - 문제는 남의 컨텐츠를 취합해서 유통하기 때문에 비즈니스 자체가 음원을 소유하고 있는 레이블/퍼블리셔들에 의해서 흔들릴 수 있다.

이미 이런 현상은 상장기업인 판도라의 실적발표와 재무제표를 통해서 확인된다. 판도라는 인터넷을 통해서 음악을 스트리밍 할때마다 음원 소유자들한테 스트리밍 비용을 지급해야 한다. 물론, 하나씩 보면 엄청나게 적은 비용이지만 2011년도 자료를 보면 판도라의 음원 사용료는 전체 매출의 54%이니 절대로 만만치 않다 (2013년 예측은 60%). 판도라는 이 비용을 지금까지는 투자금과 광고 수익으로 땜빵하고 있고 아직도 회사는 수익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광고 수익이 늘어나면 언젠가는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지만, 분명히 그때와서 음반사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인해서 스트리밍 비용을 더 달라고 할 것이다. 이미 그렇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상당수의 유저를 확보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판도라는 어쩔 수 없이 음반사들이 더 달라고 하면 더 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판도라라는 비즈니스와 고객 자체가 이러한 음원때문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넷플릭스나 아마존과 같은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도 이런 문제가 있다. 서비스의 core는 동영상인데 그 동영상들을 본인들이 소유하고 있지 않으니 결국 영화사들이 달라는대로 비용을 줄 수 밖에 없다. 물론, 넷플릭스나 아마존과 같은 회사들은 엄청난 유저 수를 확보하고 있고 이로 인해 영화사들도 돈을 벌기 때문에 이들도 너무 무리한 요구를 할 수는 없지만 어쨌던간에 컨텐츠를 라이센싱할 때마다 항상 어려운 협상이 진행된다. 두 회사 모두 자신만의 original contents를 제작하는데에는 이런 이유도 있다.

그래서 나도 이런 회사들을 - 자기 컨텐츠가 없고 남의 컨텐츠만 유통하는 단순한 aggregator들 - 접하면 자연스럽게 더 신중해지고 약간 부정적인 생각을 많이 하게된다. 음악을 스트리밍 하는 서비스, 유투브의 동영상을 모아서 유통하는 서비스, 페이스북의 사진들을 정리해서 보여주는 서비스 등...모두 이런 부류에 속하는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컨텐츠 소유자들의 변덕에 비즈니스의 흥망이 좌지우지되는 서비스는 굉장히 불안한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0 0 votes
Article Rating
배기홍 대표는 한국과 미국의 네트워크와 경험을 기반으로 초기 벤처 기업들을 발굴, 조언 및 투자하는데 집중하고 있는 스트롱 벤처스의 공동대표이다. 또한, 창업가 커뮤니티의 베스트셀러 도서 ‘스타트업 바이블’과 ‘스타트업 바이블2’의 저자이기도 하다. 그는 어린 시절을 스페인에서 보냈으며 한국어, 영어 및 서반아어를 구사한다. 언젠가는 하와이에서 은퇴 후 서핑을 하거나, 프로 테니스 선수로 전향하려는 꿈을 20년째 꾸고 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