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10시간에서 최장 23시간까지 의자에 앉아 일하는 스타트업 팀원들을 위해 비석세스와 의자 전문 브랜드 시디즈가 만났다. <비석세스X시디즈가 함께하는 ‘성공을 전하는 의자’ 캠페인>의 첫 주인공이었던 매쉬업엔젤스 이택경 대표가 추천한 다음 타자는 중국 요우커들을 위한 관광 정보 플랫폼 '짜이서울'의 김희규 CTO다.
짜이서울에 합류한 김희규 CTO는 2007년 카이스트 수학과 석사를 마친 후 티맥스소프트와 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 다음을 거친 8년 차 개발자다. 대기업부터, 1세대 벤처 신화인 다음커뮤니케이션, 현재의 스타트업 짜이서울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조직을 두루 거친 그에게 짜이서울에서의 생활에 관해 물었다.
- 경력이 화려하다. 원래 스타트업에 관심이 있었나.
친구가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는 경우도 있어서, 원래 관심이 있었다. 언젠간 한번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대기업 다닐 때부터 했다. 제일 큰 건 호기심이었던 것 같다. 사실 대기업에 있으면 내가 하는 일 말고는 다른 일들을 알기가 힘들다. 내가 굳이 신경 안 써도 잘 돌아가니까. 창업을 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책임을 져야 한다. 현실적인 문제들 때문에 관심은 있지만 시작을 못 하고 있었는데, 다음은 벤처 같기도 하고 반면에 월급 걱정은 하지도 않아도 되니까 중간 지대를 찾아서 들어갔다. 근데 들어가 보니 그냥 대기업이더라.(웃음)
- 수많은 스타트업 중에 짜이서울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나는 기술자이기 때문에 경영이나 마케팅과 같은 그 외의 것들은 잘 모른다. 반면 짜이서울은 해야 하는 일은 명확한 데 기술을 몰랐다. 서로 시점과 필요가 잘 맞았다.
- 현재 짜이서울 내에서 개발팀이 가장 중점적으로 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가.
짜이서울은 매거진에서 시작해 웹과 모바일로 서비스를 확장한 드문 케이스다. 플랫폼은 확장되고 있지만 여전히 그 핵심에는 컨텐츠가 있다. 처음에는 숙박 예약 시스템을 만들었고 이후로 투어 상품, 티켓식으로 커머스 사업으로 확장을 했다. 요즘에는 온라인 상거래 관련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웹상에서는 이미 결제가 붙었고, 앱은 출시를 앞두고 있다.
- 주요 시장이 한국이 아닌 중국이다. 중국 앱 시장에 진출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이 무엇인가.
일단 시장이 너무 크다(웃음). 기본적으로 앱 마켓 수가 너무 많다. 국내는 애플 앱스토어 아니면 안드로이드 마켓 둘 중 하나인데 중국은 메이저 마켓만 해도 수십 개다. 앱을 출시하는 입장에서 좋은 것이 아니냐고 할 수도 있지만, 일단 각기 다른 마켓마다 앱을 등록하고 흩어져 있는 피드백을 모아 서비스에 적용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 개발팀 내에 중국인도 있나.
개발자가 4명인데, 그중 한 명이 중국인이다. 국적은 달라도 같은 개발자이다 보니 크게 다른 점은 없다. 기본적으로 편하고, 잘 동작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같다.
- 현재 중국 시장에 맞는 앱 유형은 어떤 것인가.
몇몇 어플리케이션을 살펴보면, 국내 예전 방식과 좀 닮아있다. 서비스가 약간 투박하고 직관적이다.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서 최대한 많은 것을 한곳에 넣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구현한 경우가 많다. 정보가 꽉 차 있고, 화려한 것들을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것 같다.
- 최근 국내에서는 모바일 서비스가 포화에 이르면서 IoT, 웨어러블 쪽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중국은 어떻다고 보는가.
우리나라에서도 IoT, 웨어러블, 하드웨어 쪽으로 이야기는 많이 나오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여전히 모바일이 강세라고 생각한다. 중국도 다르지 않다. 중국도 빠른 시간 내에 모바일 서비스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지만, 여전히 가장 높은 잠재력이 있는 것은 모바일 쪽이라고 생각한다. IoT 등은 아직 플랫폼이나 킬러 컨텐츠가 등장하지 않았다. 중국도 당분간은 모바일 경쟁이 더 심화되고, 많은 서비스가 생겨날 것이다.
- 예전 대기업에 있을 때와 지금을 비교해보았을 때, 어려움은 무엇인가.
사실 기술적 난이도로 봤을 때는 첫 직장이 가장 높았다. 지금은 웹서비스를 만드는 일을 하지만 그땐 웹서버를 만드는 일을 했다. 하지만 목표를 잡기는 예전이 더 쉬웠다. 티맥스소프트 같은 경우는, 기업 간(B2B) 계약을 맺는 것이어서 고객이 원하는 스펙에 맞춰서 기능이 들어가 있고, 결과가 나오면 끝났다. 하지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는 개발자로서 목표를 잡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각 개인이 어떤 부분을 불편해하는지, 어떤 기능을 필요로 하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어떻게 개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도 없고 스스로 결정하고 판단해야 하는 일이 늘었다. 또 혼자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팀 전체가 같이 서비스를 만들어나가기 때문에 공감대 형성이나 의견 수렴 과정이 어려웠다.
-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했나.
에자일(agile) 정신으로 빨리 만들고 빨리 고쳤다. 좋은 건 발전시키고, 나쁜 건 빨리 포기하는 것이다. 지금도 우리 배라팀에서는 새로운 기능이 2, 3일에 하나씩 나온다. 거기서 얻은 데이터로 서비스를 조금씩 개선해나가는 것이다.
- 개발 집단에 있다가 마케터, 디자이너 등과 더 활발히 의사소통해야 하는 스타트업에서 일하게 되니 어려운 점은 없었나.
사실 짜이서울 이전에도 비 개발자들과 일하는 일이 꽤 있었고, 나의 경우에는 의사소통을 잘하는 편에 속했다. 하지만 여전히 어려움은 있었다. 개발을 모르는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것만 보고 UI가 전부라고 생각하고 말한다. 사실 뒷단에서는 여러 가지 과정이 필요한데 말이다.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지금은 많이 극복한 편이다.
- 스타트업 개발자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거 해보면 재밌겠다 싶으면 뭐든지 시도해볼 수 있다. 대기업의 경우 새로운 것에 시도하기 위해서는 윗선을 설득해야만 한다. 하지만 스타트업은 의사결정 과정이 빠르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 예전에는 개발만 하면 서버나 다른 부분은 모두 다른 사람이 해줬기 때문에 모르는 것이 많았는데, 짜이서울에서는 손이 닿지 않는 곳이 없다. 개발자로서는 한 번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된 셈이다.
- 하루에 개발하면서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은 어떻게 되나. 김희규 CTO에게 의자의 의미는 뭔가.
10시간 이상이다. 일단 아주 액면 그대로 의자가 없으면 개발을 못 한다. 개발자에게 의자는 공기가 아닐까 생각한다(웃음).
- 2015년 짜이서울의 목표는 무엇인가.
현재 중국 법인이 세워져서 현지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장재영 공동 대표와 3명 정도의 중국인으로 꾸려졌다. 밝힐 수는 없지만, 내부에서 활성유저, 트래픽, 다운로드 등 항목당 목표 수치를 세웠다. 이 지표를 달성하는 것이 올해 짜이서울의 목표다. 올해에는 짜이서울의 목표가 내 개인적인 목표이기도 하다.
Editor’s Note: ‘비석세스X시디즈 스타트업 의자 지원 프로젝트’는 개발자, 디자이너, 창업가 등 장시간 앉아서 근무하는 스타트업계 인사들에게 보다 더 편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고자 의자 전문 기업 시디즈의 지원 하에 진행됩니다. 본 프로젝트는 격주 간격으로 릴레이 방식을 진행되오니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