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도 start-up들을 위한 여러 community의 형성이 본격화되기 시작하면서 이제 start-up 들에게도 네트워킹은 절대적인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start-up 들의 생존 및 성장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모험자본(venture capital)으로의 접근이 크게 ‘소개’라는 네트워킹의 한 종류를 통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 공공연하게 됨에 따라 점차 많은 수의 start-up 들이 이러한 네트워킹에 커다란 비중을 두고 있다.
솔직히 이야기하자면 처음 시작하는 것보다 이렇게 시장으로 돌아가서 문제를 풀어내는 과정이 훨씬 훨씬 고통스럽고 멀게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기본이고, CEO 리더로서 가장 먼저 시장으로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이 과정을 잘 돌파할 수 있다면 그것이 CEO가 본격적인 기업가로, 스타트업이 제대로 된 기업으로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줄 것이다.
지난 주에 발행한 스타트업 레포트 1에 이어, 이번 주에는 우리 창업가들이 글로벌 시장의 진출에 있어 느끼고 있는 도전들에 대한 내용을 살펴본다. 국내 스타트업들에게 글로벌 시장 도전은 필수적인 것이라 필자는 생각한다. 지난 주에 공유된 결과물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beSUCCESS 독자들 중 대다수가 시도하고 있는 인터넷 벤처 분야, 그 중에서도 App Business를 예로 살펴보자.
“Mini MBA” 과정은 경영전략 전문가인 이은세 사장이 현장에서 체득한 강력한 비즈니스설계에 관한 노하우를 다양한Case Study를 통해 전달하기 위해 개설된 과정으로, 창업자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전략의 기본 개념과 독창적이면서도 수익성 높은 비즈니스 디자인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울러 본 강연은 특히 IT 분야 창업자들이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해 꼭 알고 있어야 할 하이테크 시장의 특성에서부터 VC 등 투자자들에 대한 이해까지를 다룸으로써, 제목 그대로 창업자들을 위한 이틀간의 충실한 “Mini MBA” 강의가 되어 줄 것이다.
우리는 우리 독자들께 감사의 마음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고민하기 시작하였고, 곧 “우리 독자들께 보다 실제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자”는 결론에 다다르게 되었다. 그래서 필자는 beSUCCESS의 역할, 즉 스타트업을 위한 Unique하고 질 좋은 정보의 전달자라는 역할에 더욱 집중, 앞으로 3 주 간 이번 설문을 통해 얻어진 우리의 이해를 독자들과 공유해 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