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션실리콘밸리] 서로 다른 투자자 (3)
2013년 07월 26일

Editor's Note: 실리콘벨리에서 벤처케피탈리스트로 활동중인 이호찬님은 많은 이들에게 실리콘 벨리와 그 안에서 호흡하는 VC의 일상을 보다 상세하고 현장감있게 전달하고자 실리콘벨리와 투자자의 이야기를 소설(픽션실리콘밸리) 형태로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호찬님의 픽션실리콘밸리는 beSUCCESS에서 주 1회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Silicon Valley Fiction서문 미국에서, 특히 실리콘밸리에서 회사가 설립되고, 펀딩을 받고,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는 내용을 극화해서 알기 쉽고 생생하게 보여주고 싶다는 바램이 있었으나, 한동안 망설이다가 드디어 첫 서문을 시작하기로 했다. 이 글에 등장하는 사람이나 기업은 모두 가상이지만, 사실감을 주기 위해 내용에 전혀 중요하지 않은 커피숍이나 거리 등은 실제 존재하는 장소와 이름을 사용하였다. 글에 등장하는 인물, 회사, 전략, 펀딩, 이사회 토론 등 어떠한 내용도 실제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음을 다시 명확히 한다.

서로 다른 투자자 – C. 투자자의 관점

(1) 다섯가지 측면

회사 프리젠테이션에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중요한 사항은, 시장, 제품, 고객, 팀, 재무 등이다. 이 것은 스타트업 엑설러레이터인 (Accelerator)인 500스타트업스 (500 Startups)의 데이브 맥클루어 (Dave McClure)가 제시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투자자가 가지는 관점을 쉽게 일반화한 것으로 보이고, 일단 이 관점을 그대로 사용하고자 한다. 여하간 투자자는 이 다섯가지를 바탕으로 평가한 가치에 회사가 수긍하고 돈을 받을 의향이 있으면 투자, 그렇지 않으면 패쓰다. 투자자 마다 이 다섯 가지의 배점이 다르고, 이 다섯 가지 항목내에서도 보는 관점이 다르다. 이를 테면, 세코이아 캐피탈 (Sequoia Capital)의 창업자인 돈 발렌타인 (Don Valentine)의 경우는 “큰 시장을 타겟하라 (Target Big Market)”고 시장의 크기에 초점을 두고 있다. 많은 다른 투자자들은 무엇보다도 팀의 역량에 가장 큰 비중을 두면서, 말로는 팀 이외의 다른 어떤 것도 중요하지 않다라고 얘기한다. 물론 속 마음은 다를 수 있겠지만. 대충 잘 모르겠으면 동일한 비중으로 다섯 가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500스타트업의 데이브 맥클루어는 각각이 백만불의 가치라고 평가한다. 다섯 개중에 네가지를 갖추고 있으면 투자가치 4백만불. 일반적으로 초기기업일수록 팀/시장이 중요하고, 후기기업일 수록 제품/고객이 중요하다. 어차피 초기에는 팀과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시장 밖에 없고, 후기는 시장의 존재와 팀의 역량은 어느 정도 검증이 된 상태이고, 실제 제품과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 그리고 모든 운영의 결과물인 재무적인 실현이 중요한 부분이다.

BeeOrBug과 알버트와의 미팅에서얘기하려고 하는 주요 스토리는 대략

  • 첫째, 주식 예측 시장이라는 큰 시장이 앞에 있고,
  • 둘째 집단 지성을 이용한 간단하고 게임적인 요소를 포함한 서비스로 이 큰 시장을 공략할 수 있고,
  • 셋째 지금의 사용자 증가와 사용자 활용 (engagement)를 보면 이 시장의 가능성과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통한다는 것을 검증해주고 있고,
  • 넷째 우리 팀은 원래 훌륭한 사람들인데 지금까지 BeeOrBug를 성장시킨 것을 보면 정말 훌륭하고,
  • 다섯째 현재의 재무적 모습은 이렇고, 우리의 원대한 계획을 달성하면 2~3년후의 우리의 모습은 이렇다 정도이다.

물론 알버트는 속으로 원대한 계획의 대부분은 6개월 내에 좌절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정말 된다면…

 

(2) 시장

투자자 마다 또는 펀드의 성향에 따라 시장을 보는 관점이 다르다. 큰 시장이 있는 시장인가 아니면 없는데 만들어 내는 시장인가. 어떤 투자자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시장을 만드는 아이디어를 원하는 반면, 어떤 투자자는 이미 큰 시장이라고 검증된 곳에 새로운 제품으로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선호한다. 물론 둘 사이의 차이가 흑과 백 같이 명확하지는 않다. Twitter가 새로운 시장을 만들었는가. 아마도 Facebook은 MySpace가 보여준 시장 가능성을 바탕을 했다고 할 수도 있겠다. 일반 서비스 부문은 새로운 시장의 스토리가 잘 통하지만, 제조업쪽은 쉽지 않다. 제조업 부문의 회사는 기존 대형 제조업체와 사업 개발을 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대형 제조업체는 시장의 리스크를 지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회사에서 제시하는 가치가 기존 제품의 가치보다 2~3배 뛰어난 가치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기존 기술 방식 또는 거래처를 두고 다른 곳을 사용할 위험부담을 지지 않을 것이다. 좀 더 현실적으로는 제조업체내의 담당자가 무슨 자기 회사인냥 리스크를 질 이유가 없다. 어차피 몇 년후에 다른 부서로 옮길 것이고, 그 사이에 괜한 큰 사고를 치지 않는 것이 좋다.

알버트는 BeeOrBug가 일반투자자의 집단지성을 모아서 주가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 서비스라고 보고 있다. 일반인들의 주가에 대한 가장 큰 관심은 단순하다. 주가가 다음날 오르냐 내리냐. 주가 예측이라는 큰 시장은 존재하고,  크라우드 소싱 예측 모델은 MarketWatch와 같은 대형 주식사이트에서도 별로 중요하지 않은 기능으로 들어가 있는데, 이것을 본격적으로 독립적인 사업화를 하려는 회사다. 큰 시장인가? 주가 예측은 언제나 큰 시장이다. 새로운 시장인가? 꼭 그렇지는 않을 수 있다. 지금 있는 서비스 중에 쓸만한 것이 없을 뿐이다.

 

(3) 제품

제품 또는 서비스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장 안 좋은 설명은 다른 경쟁 제품 또는 서비스와 같다는 설명이다. 뭔가 차별이 있어야 한다. LivingSocial을 투자자가 만났다면, 가장 궁금한 질문은 Groupon과의 차별점일 것이다. ‘서비스가 똑 같지만 시장이 크니까 좋은 기회가 있다’라고 했다면, 투자도 못 받겠지만 경영진에 대한 역량 평가는 이미 내려진 것이다. 만약 ‘Groupon의 가장 큰 문제가 가맹점의 현금 회수사이클이 길고, 이 문제를 해결해 주겠다’라고 한다면, 적어도 얘기는 다음 단계로 진행될 것이다. 회사가 공략하려는 시장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에 따라, 제품 또는 서비스를 두 가지 분류로 볼 수도 있다. 하나는 비타민 (Vitamin), 그리고 다른 하나는 진통제 (Pain Killer)이다. 비타민은 먹으면 좋고, 굳이 따로 안 먹어도 괜찮다. 제품/서비스 역시 지금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조금 나은 사양 (Feature)를 보여주면서, 고객을 유인할 수 있다. 진통제는 시장의 골칫거리를 해결해 준다. 시장이 성장하는 데에 가장 결정적인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렇다면 진통제가 비타민 보다 나은가하면 이 역시 투자자의 기호 차이이다. Zynga가 게임 사용자가 그토록 고민하던 문제를 해결해 주지는 않았겠지만, Groupon은 로컬의 가맹점이 고객을 유치하는 큰 고민을 해결하는 통로를 제공해 주었다. 두 회사의 현재 시장가치는 유사하다. 물론 애석하게도 유사하게 안 좋다.

BeeOrBug가 대상으로 하는 단순한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주가를 예측할 수 있는 소스는 많이 있다. 회사별 리서치 보고서, 산업 동향, 기업 공시 등등. 하지만 일반 투자자들이 제일 관심있는 것은 남들은 어떻게 생각하냐 일 것이다. 집단 지성을 모아서 예측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투자자들이 섭취하는 많은 정보와 함께 먹는 비타민적인 성격이 클 것이다. 알버트가 생각하기에는 종합비타민이기 보다는 한방향, 즉 비타민C에만 초점을 맞추는 서비스라고 보았다. 어차피 대략 건강한 사람에게 비타민은 비타민 C로도 충분하다. 괜히 다른 비타민 먹어봐야 탈난다.

  (다음 편에서 계속)

 

 

픽션실리콘밸리의 원문은 siliconvalleystory.co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 0 votes
Article Rating
HoChan Lee is Managing Director of KTB Ventures. He focuses on investments in the areas of information technology, digital media, entertainment and consumer service. He has led more than 15 invest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cross-border business development efforts between Korean companies and portfolio companies. (lee.hochan@gmail.com)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