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 머니, 비트코인 이야기
(비트코인이 가져올 파괴적혁신과 금융의 미래)
# 2 무엇이 새롭고 어떻게 운영되나
지난 첫번째 글(그들이 비트코인에 열광하는 이유, 바로가기)에서 살펴보았듯이, 비트코인은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닉네임으로만 알려진, 실체가 드러나지 않은 개발자(혹은 그룹)에 의해 개발되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전까지는 온라인상의 자금 거래에 항상 제3자(금융기관)의 신용을 바탕으로 한 개입이 필요했다. 비트코인의 등장은 이 과정이 불필요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한 혁신으로 받아들여진다. 지난기사에서 보았듯이, 유수의 벤처캐피탈리스트들과 전문가들 심지어 금융당국 관계자까지 비트코인의 혁신성을 인정하는 건 그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자, 영희가 철수에게 10만원의 돈을 인터넷상으로 보내려면, 은행이나 신용카드회사 또는 페이팔 같은 서비스에 의존해야만 했다. 거래 당사자인 두 사람 외에 또 다른 당사자, 즉 금융 기관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들 중개자는 계좌소유자의 잔고와 거래내역이 기입된 온라인상의 장부를 유지/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영희가 철수에게 10만원을 보내면, 금융기관은 영희의 계좌 장부에서 10만원을 빼고, 철수의 장부에 10만원을 더하는 식으로 거래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비트코인을 주고 받는 건 이메일을 사용하는 것만큼이나 간단하다. 상대의 비트코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고 금액을 적은 뒤 보내기 버튼을 누르면 그만이다. 인터넷뱅킹이나 페이팔과 달리 금융기관/회사의 개입 없이 거래 당사자간에 직접적으로 디지털 캐시가 이동하고 보안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모든 거래를 하나의 공개 장부에 기록하고,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이 핵심
이런 과정을 거쳐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핵심은 중개자, 공인된 장부관리자가 없다면 디지털화된 돈의 경우 이중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디지털 캐시는 디지털 문서와 마찬가지로 단지 컴퓨터 상의 파일일 뿐이다. 장부를 관리하는 중개기관이 없다면 (우리가 컴퓨터 파일을 쉽게 복제할 수 있는 것마냥) 쉽게 복제해서 이중, 삼중으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중개기관 없이 영희가 철수에게 직접 디지털 캐시를 보낸다면, 10만원에 해당하는 파일을 메시지에 첨부해서 보내게 될 것이고, 이메일을 쓸 때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파일은 컴퓨터에서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남게 된다. 고로 영희는 또 다른 친구, 예컨대 영철에게도 10만원을 보낼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아마도 엄청난 혼란이 야기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 같은 문제는 컴퓨터과학에서 ‘이중지불의 문제(Double-spending Problem)’로 널리 알려져 왔다. 비트코인이 등장하기 전까지 이 문제는 신용을 기반으로하는 제3의 기관에게 장부관리 역할을 위탁하는 것에 의해서만 해결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이중지불의 문제는 피할 수 있었지만 대신 비효율과 비용이라는 부담을 짊어져야 했지만 말이다.
비트코인의 등장이 혁명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이런 배경 때문이다. 즉 역사상 최초로 제3기관의 개입 없이 이중지불 문제를 해결 했다는 점. 이게 어떻게 가능했을까? 비트코인이 택한 전략은 분산과 공개였다. P2P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의 모든 이용자들에게 장부를 공개하고 분산했다. 그리하여 비트코인 시스템 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는 하나의 공개 장부에 기록되고, 분산되어 저장된다. 이 단일장부를 블럭체인이라 칭한다. 새로운 거래가 발생하면, 그 거래에 사용된 비트코인이 예전에 사용된 적이 있었는 지 검증된다. 그리하여 이중 사용으로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사라지게 된다. 수만명의 자발적 검증인(마이너, 채굴자) 및 이용자들로 구성된 전지구적 규모의 P2P 네트워크가 스스로 금융기관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영희와 철수는 은행이나 페이팔 없이도 온라인 상으로 금전 거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비트코인은 금융이용자들의 협력에 의해 가동되는 역사상 첫 수평적 금융네트워크라고 불릴만 하다.
비트코인은 분산적이고 수평적인 시스템이자 독립 화폐
비트코인은 이처럼 인류가 경험해보지 못했던 분산적이고 수평적인 협력의 금융거래 시스템이면서 동시에 독립적인 화폐이기도 하다. 즉 비트코인 시스템 안에서 오가는 거래는 (페이팔에서처럼) 달러나 원, 유로 등으로 표현되지 않는다. 비트코인(BTC)이라는 독자적인 단위를 사용한다. 일반 화폐처럼 어느 국가에 종속돼 있지도 않으며 중앙은행이라는 발행기관도 없다. 화폐로서 비트코인의 발행은 수학적 알고리즘에 의해 네트워크상에서 계획적으로 이뤄진다. 현재는 대략 매 10분마다 25비트코인씩 새로 발행이 되며, 앞에서 말한 자발적 검증인 중 한 사람(또는 집단)에게 이 금액이 주어지는 식으로 세상에 풀린다. 이 검증인들은 마치 금을 채굴하듯 비트코인을 채굴한다고해서 마이너(Miner)라 불리는데, 앞에서 언급했던 공개장부인 블럭체인에 10분 간의 거래기록을 검증하여 저장하는 권한을 얻기 위해 경쟁한다.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컴퓨팅 파워가 확보되어 안정성이 커지게 된다. 참고로 현재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컴퓨팅파워는 전세계 상위 500위까지의 수퍼컴퓨터를 모두 합한 것보다 10배 정도 더 크다. 일반 대중들에 앞서 해커들과 보안전문가들부터 비트코인을 사용하게 된 건 이런 이유 때문이다.
가상화폐이자, 글로벌 독립화폐로서 비트코인의 가치는 기존 국가화폐 또는 금으로부터 비롯되지 않는다. 오직 사람들이 그것에 얼마의 가치를 두느냐에 따라 가격이 (자율적으로) 형성돼 왔다. 한국의 코빗처럼 자율적으로 생겨난 여러 거래소에서 그야말로 시장의 원리에 따라 가치가 형성되고 있고 그것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발행량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2140년까지 2100만개 발행, 현재 1100만여개 발행), 그 가치는 계속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많지만 사람들이 얼마만큼 이 혁신에서 편리함을 느끼고 이용에 동참하게 될 것인가에 이 화폐의 운명이 정해져 있다고 보는게 맞을 것이다.
다음 이야기 - 비트코인에 대한 오해 혹은 우려들
Editor’s Note : 비트코인은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갖고 있습니다. 가상이지만 충분히 화폐로 통용될 수 있기에 그 가치가 유동적이라는 점이 바로 그것입니다. 2013년 1월에 1비트 코인이 $13달러였던 것에 반해 유럽금융위기와 맞물려 가치가 폭등하여 1비트 코인이 $266 까지 치솟았다가, 하루만에 $54까지 폭락하는 경우도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또한 금융당국의 규제를 받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이제 각국 정부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규제와 과세를 시작한다는 점 역시 장점이자 단점이며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비트 코인이 말하는 통화 개념의 가치 혁명, 과연 어떻게 진행될까요? 김진화님의 연재를 통해 그 흐름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본 기사에서 다루는 비트코인에 대한 견해는 beSUCCESS의 공식적인 입장과는 차이가 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