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관람가 47. 옥희의 영화 – 최대 80%만 노력하기, 너무 잘하려고 하지 말고
2017년 02월 03일

옥희의 영화

무엇이든 너무 잘하려고 하면 오히려 더 못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특히, 창작에 해당하는 일을 할 때 더 그런 것 같네요. 글을 쓸 때도 그렇습니다. 멋진 문장을 욕심내면 금세 지저분해지고 맙니다. 기획, 디자인, 개발, 마케팅. 가만 보면 스타트업의 일에도 상당한 창작능력이 필요합니다. '욕심내지 않기'는 스타트업의 업무에도 해당하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이번엔 내가 가진 능력의 최대 80%만 쓴다.

어떤 중요한 일을 시작하기에 앞서, 예컨대 이런 문장을 되새기며 출발하는 건 어떨까 합니다. 어깨에 힘이 들어가면 헛스윙이 나오게 마련입니다. 너무 세게 차면 대기권 돌파 슛이 나옵니다. 중요한 일일수록 우리는 의식적으로 '쿨'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잘하고 싶은 욕심으로 가득 차서 덤벼들다 스트레스만 잔뜩 받고 망쳐버린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지 않으신가요.

《옥희의 영화》는 창작자가 어깨에 힘을 빼고 접근했을 때 어떤 재미있는 일이 벌어지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영화의 제작방식은 말도 안 되는데요. 겨우 4명의 스태프가 13회에 걸친 촬영만으로 장편영화를 완성했습니다. 심지어 시나리오도 촬영 당일에 나왔습니다. 아침 일찍 시나리오를 쓰고 배우한테 전화해 "오늘 뭐 해? 나올래요?"라고 했다는 것입니다. 홍상수 감독은 "이 영화를 찍을 당시 물리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도저히 영화를 찍을 만한 상태가 아니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그런 최악의 상황에서 영화를 찍으면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궁금했다고 하네요.

그렇게 만들어진 《옥희의 영화》에는 묘한 생명력이 있습니다. 신비롭기까지 합니다. 이 영화는 이렇게도 볼 수 있고 저렇게도 볼 수 있습니다. 영화의 어떤 요소도 규정되거나 강제되지 않았고, 그래서 도식적인 해석이 불가능합니다. 클리셰 가득한 대한민국에 사는 관객으로서 통쾌함마저 느낄 수 있었던, 입체적인 영화가 탄생했습니다.

영화는 총 네 개의 장으로 구성돼있습니다. '주문을 외울 날', '키스왕', '폭설 후', '옥희의 영화'가 차례로 나오고, 각 장이 끝날 때마다 매번 엔딩크레딧이 올라갑니다. 이선균(진구 역), 정유미(옥희 역), 문성근(송 교수 역)은 같은 사람인 것 같기도 하고, 다른 사람인 것 같기도 한 인물들을 연기합니다. 각 장은 연결된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4개의 토막인 동시에 1개의 전체입니다. 시간순서 역시 1-2-3-4일 수도 있고 1-2-4-3일 수도, 그게 아니면 2-3-4-1일 수도 있습니다.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아니, 모를 수밖에 없습니다. 《씨네21》과의 인터뷰에서 홍상수 감독이 밝힌 촬영방식을 보니 기가 막히네요(편집해서 인용합니다).

우선 이선균 씨와 하기로 정하고 촬영 이틀 전에 영화의 대강을 두세 장에 썼다. 찍으면서 그 장면들이 늘어지면 영화 한 편이 되지 않을까 했는데 편집해보니 27분 정도밖에 안 됐다. 뭘 더하라는 뜻 같았다.

이전 단편 《첩첩산중》에 출현한 정유미 씨와 문성근 씨에게 연락해 계속 찍었다. 그것이 2편 ‘키스왕’이 됐다. 2편의 중간쯤까지 갔을 때 장편까지 가볼까 생각이 들었다. 1, 2편에서 문성근 씨가 연기하는 송 교수가 완전히 다르고 2편에서 옥희와 송의 관계가 암시되니까 그것을 더 풀어줘야 할 것 같아 다시 4편을 만들었다. 몇 분부터 장편으로 간주하냐고 주변에 물어보니 80분이라고 하더라. 그런데 1, 2, 4편을 편집해보니 80분이 안 됐다. 긴 중편으로 남긴 체 더 건드리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꼭 중편이나 장편이 돼야 한다는 압박은 없었다.

그런데 마침 103년 만의 폭설이 내렸고, 3편(폭설 후)이 바로 떠올랐다. 아침에 일어나 3편 대본을 쓰다가 송 교수가 나와야 한다는 판단이 들어 문성근 씨에게 전화를 했다. 안 받더라. 연락을 기다리며 계속 썼다. 40분 뒤 전화가 왔고 나와달라고 해서 그날 오후에 바로 3편을 찍었다(웃음).

워낙 한정된 자원이다 보니 4명의 스태프는 온갖 일을 병행해야 했습니다. 심지어 배우인 문성근도 자신의 촬영분량을 다 찍은 후에 차량통제를 했다고 합니다. 4번 오르는 엔딩크레딧에도 사연이 있습니다. 각 장을 분리하려는 목적도 있었지만, 편집해보니 장편영화 기준인 80분이 채 안 됐다고 합니다. 그래서 엔딩크레딧을 4번이나 넣었다는 것이지요. 자세히 보면 4번째 엔딩크레딧은 배우 이름이 한 번 더 반복해서 올라갑니다. 얄밉게도 이 영화의 길이는 더도 덜도 아닌 딱 80분입니다.

어깨에 힘을 빼고, 가진 최소한의 자원으로 시도한 경쾌한 창작 방식. 이걸 보면서 저는 스타업의 방법론인 '스프린트'와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말하자면 4번의 스프린트로 찍은 4개의 장이었습니다. 《옥희의 영화》는 빠르게 기획(아이디에이션)하고, 빠르게 시나리오(스케치 목업)를 써서, 빠르게 촬영하고(프로토타입 제작), 빠르게 편집(테스트)해 만든 영화입니다.

모든 홍상수 영화 중에서 저는 이 영화를 가장 좋아합니다. 일단 보기에 무척 편합니다. 어깨에 힘을 빼고 만들었다는 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속도감 있는 제작방식만큼이나 경쾌함이 있는 영화입니다. 지켜보기가 괴롭고 체할 것만 같은 과잉이 느껴졌던 전작들보다 이 영화가 훨씬 더 좋습니다.

완전히 갖춰진 환경에서 모든 노력과 능력을 끌어내야만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주어진 자원으로, 경쾌하게, 최대 80%의 동력으로도 좋은 창작은 가능합니다. 지금 무언가 잔뜩 잘하고 싶은 욕심에 체할 것 같다면, 한번 20%를 내려놓는 것은 어떨까요? 반드시 이번에 다 보여줄 필요는 없습니다.

영화 이미지 ⓒ 스폰지이엔티

*편집자 주: 컬럼 등 외부 필진의 글은 '비석세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김상천 coo@slogup.com 슬로그업의 영화 좋아하는 마케터. 창업분야 베스트셀러 '스타트업하고 앉아있네'의 저자입니다. 홈·오피스 설치/관리 플랫폼 '쓱싹'을 운영하고 앉아있습니다.

Comments are closed.